원종태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안정 화력발전 반대!”
“현대산업개발 한화에너지는 화력발전소 추진 철회하라!”

통영시청 앞에서 마스크를 쓴 채 화력발전소 반대 피켓을 들고 있는 이는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원종태 사무국장이다.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은 3월 5일 기준 122일째, 회원들이 돌아가면서 매일 1인시위를 하고 있다. 원 사무국장은 금요일 담당이다.

“끝까지 해봐야 하지 않겠어요? 오늘 피켓을 들지 않으면 내일은 지구가 기후위기로 더한 재앙을 맞게 될 테니까요.”

환경운동연합이 목소리 높여 반대하고 있는 것은 통영안정공단에 들어설 1천MW급 LNG복합발전소다. 천연가스라고는 하지만, LNG역시 탄소를 발생시키는 기후위기의 주범이기 때문이다.

“석탄에 비해 이산화탄소를 6-70% 발생시킨다고 해서 천연가스라고 불리지만, LNG도 결국은 석유가스입니다. 초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을 뿜어내는 굴뚝이기는 마찬가지이지요.”

원 사무국장은 전세계가 탄소제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이때, 새로운 발전소를 짓는다는 것은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LNG발전소의 더 큰 문제는 온배수 문제다. LNG발전소 냉각에 사용된 뒤 배출된 온배수는 바다 수온보다 7도가 높다. 바닷물 온도가 1도만 올라가도 생태계는 엄청난 피해를 본다.

“굴수협에서 LNG발전소가 생길 경우 굴양식업에 얼마나 피해가 갈지를 조사하는 용역을 실시했는데, 온배수 피해범위가 5km를 넘어가면 어업 피해금액이 1조678억원이나 된다고 나왔습니다. 그보다 더 넓은 10km 범위까지 피해가 확대되면 피해금액은 2조7천억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여기에 정치망어업, 해상종묘어업, 멍게어업 등의 피해까지 더해보세요. 안정만, 진해만 해양생태계가 어떻게 되겠습니까?”

안정공단에 LNG발전소를 짓겠다는 대기업은 한화에너지다. 사측은 안정공단내 옛성동조선 부지 8만 3천여 평에 1012MW, 20만kl탱크 1기를 만들고 30년 동안 운영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13년에 허가를 받았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2017년 취소됐다. 그러나 2019년 대법원이 기업의 손을 들어주면서, 다시 수면위로 떠올랐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여러 시민단체들과 함께 ‘통영화력발전소 착공저지를 위한 대책위’를 결성하고 기자회견, 집회, 토론회, 1인시위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7번째로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기후악당 국가’입니다.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라 2030년까지 온실가스 37%를 감축하겠다고 약속까지 해놓은 터에 화력발전소를 신규로 건설하겠다는 것은 말도 안 됩니다.”

바다쓰레기를 치우며 환경운동에 앞장서고 있다.

원 사무국장은 앞으로 LNG발전소가 10년 내로 멈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 석탄발전소가 문을 닫고 있듯이, 재생에너지가 늘어나면 도태될 것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왜 기업은 LNG발전소를 지을까? 정책에 의해 문을 닫게 되면 정부가 건설비와 운영이익을 보전해 주기 때문에 기업은 조금도 거리낄 것이 없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공부를 할수록 마음은 바빠지는데, 시민들은 당장 발등에 떨어진 기후위기조차 남의 일처럼 여기고 있으니 그럴 때가 가장 답답하지요.”

거제도 산골에서 태어나 유소년기를 보낸 원종태 사무국장은 어려서부터 자연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있었다. 청년이던 1994년부터 환경운동연합에 가입했고, 2010년 운영위원이 되면서 본격적인 활동가가 됐다. 2015년 의장, 2016년부터는 사무국장으로 통영거제지역의 환경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우리 회원이 800명입니다. 통영거제 인구 대비 0.2%이지요. 더 많은 사람이 전지구적인 환경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시인이기도 한 그는, 시집 ‘풀꽃경배’와 ‘빗방울화석’에 이어 지난해 12월 세 번째 시집 ‘멸종위기종’을 냈다. 그의 시집에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 자연의 권리와 생명의 본질 탐구한 시가 빼곡하다.

시간을 접어 바위처럼 기다렸지만
너의 사랑 법은 부재 혹은 멸종
「붉은발말똥게」 중에서

“자연에도 권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멸종위기종만 법정보호종으로 보호할 게 아니라, 바다, 갯벌, 그 안의 생물, 식물들에도 권리가 있지요. ‘보존’과 ‘합리적 이용’을 통해 더불어 사는 세상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저작권자 © 통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