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에 쌓여 있는 굴 패각더미

국내 굴 생산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통영에서는 지금 굴 수확이 한창이다. 굴 박신장은 통영에서만 170여 곳에 이른다. 종사자의 인건비가 2천억 이상에 이르는 등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도 하고 있다.

그러나 박신장에서 나오는 굴폐각을 비롯해 해양 폐기물의 항구적 대책 없이는 굴 양식 산업의 발전도 없다.

통영 바닷가는 어디를 가도 굴 패각더미가 쌓여 있다. 또 일부 고기양식장의 경우 소비 둔화와 경기 불황으로 양식장 관리조차 제대로 되지 않아 청정 통영의 바닷가가 해양폐기물 장으로 변할지도 모른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해양수산 분야의 체계적이지 못한 정책도 이에 한몫하고 있다. 각종 산업폐기물이 방치되면서 해양폐기물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다. 해마다 굴 수확 철에는 악취와 이물질(코팅 사)배출에 따른 민원이 이어지고 있으나, 굴 패각의 경우는 항구적인 대책 없이 50년 동안 이런 저런 정책만 이어져 왔다.

굴 패각은 수산 부산물로 칼슘과 단백질 등이 함유된 사업장 폐기물로 재활용의 가치가 있다며 통영지역에만 5개의 굴 패각 재활용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사업장에는 미처리 된 굴 폐 패각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매년 20여억 원 이상을 쏟아붓는데도 굴 패각 재활용 사업은 항구적이지 않다는 뜻이다.

물량 과다로 이들 사업장에서 미처리된 폐기물들이 통영시의 반입금지조치와 폐기물관리법 위반 등으로 고발조치까지 되자 굴 패각 처리에 배출 자(박신 사업장)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는 굴 박신 사업장 등에 누적된 굴 폐 패각의 처리를 위하여 56억 원의 정부예산을 투입하여 공해상에 해양투기를 위한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이 과정에서도 악취 등 민원과 이물질(특수 코팅사 등)선별을 놓고도 환경 단체와 주민의 민원도 따르고 있다. 계속되는 문제 제기에 지역 국회의원(정점식)은 EEZ내 해양투기 등 대책 관련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 해놓은 상태다.

해수부관계자는, 해양투기과정의 이물질 제거 의무는 배출 자 및 위탁자가 처리해야 한다고 하며. 앞으로도 관리감독을 제대로 하여 해양환경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최수복 경남해양환경연합 이사장은 “10여 년간 해양폐기물 단속 등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나, 통영 해안가에는 각 자연부락마다 신고 없이 방치된 굴 폐각을 비롯하여 폐그물 폐스티로폼 등의 수량이 많다”며 “코로나19여파로 경제난 등을 격고 있는 이 어려운 시점에 관계당국의 허술한 대책이 한심하다. 굴 패각의 처리를 위한 선제적이고 항구적인 대책이 시급히 따르지 않는다면 앞으로 경제와 환경 둘 다 무너진다.”고 말했다.

또 “남해안의 대다수 지자체가 어촌 뉴딜사업으로 수백억 원의 예산을 확보 했다는 홍보에는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정작, 바다 살리기를 위한 그린뉴딜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덧붙였다.

지역의 한 어업인은 “바다를 살리고, 국민 건강을 위해서는 내구성이 강하고 친환경적인 제품 개발이 따라야 한다.”며 어업 방식의 개선을 촉구했다. 특히 스티로폼 부이를 “수산물을 대량으로 얻으려는 사람들의 욕심에서 비롯된 필연적 환경재앙”이라면서, “바다환경의 항구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바다에 방치되어 있는 해양폐기물
바닷가에 쌓여 있는 해양폐기물
바다에 방치되어 있는 해양폐기물
저작권자 © 통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